주택임대사업자 2

주택임대사업자의 임대료 증액 요건 - 민간임대주택에관한특별법 제44조

Ⅰ. 서론 임대차 시장 안정화 및 투명한 임대 관행 확립을 목적으로 도입된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이하 ‘민간임대특별법’)은 등록임대주택사업자에게 일정한 의무와 제한을 부과한다. 특히, 임대료 증액에 관한 규정은 실무상 빈번한 쟁점이 되는 영역으로, 신규 임차인과의 계약 시 임대료를 인상할 수 있는지 여부는 법령 해석과 행정해석의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 글에서는 민간임대특별법 제44조를 중심으로, 주택임대사업자가 임대료를 증액할 수 있는 구체적 요건과 한계에 대해 고찰한다.Ⅱ. 관련 법률 규정 민간임대특별법 제44조는 임대료 증액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제44조 제2항: “임대사업자는 임대료의 5퍼센트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증액비율을 초과하여 청구해서는 안된다.”제44조 ..

임대사업자에 대한 지방세 감면 제도 - 2027년까지 연장

I. 서론 주택시장 안정화와 민간 임대주택 공급 촉진을 위한 세제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는 일정 요건을 갖춘 임대사업자에게 취득세 및 재산세에 대한 감면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지방세특례제한법 제31조의3에 규정된 지방세 감면은 실무상 널리 활용되나, 그 적용 범위와 조건이 매우 제한적이며, 최근 연장된 2027년 12월 31일까지의 유효기간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II. 지방세 감면의 법적 근거 지방세특례제한법 제31조의3(임대주택에 대한 감면)에 따르면,“등록임대주택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취득세 및 재산세를 감면할 수 있다.”동 조문은 지방세 감면의 근거 규정이며, 구체적 요건은 시행령에 위임하고 있다.III. 취득세 감면 제도 1. 적용 요건다음 요건을 모두 충..

부동산등기 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