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사업자 4

주택임대사업자의 임대료 증액 요건 - 민간임대주택에관한특별법 제44조

Ⅰ. 서론 임대차 시장 안정화 및 투명한 임대 관행 확립을 목적으로 도입된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이하 ‘민간임대특별법’)은 등록임대주택사업자에게 일정한 의무와 제한을 부과한다. 특히, 임대료 증액에 관한 규정은 실무상 빈번한 쟁점이 되는 영역으로, 신규 임차인과의 계약 시 임대료를 인상할 수 있는지 여부는 법령 해석과 행정해석의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 글에서는 민간임대특별법 제44조를 중심으로, 주택임대사업자가 임대료를 증액할 수 있는 구체적 요건과 한계에 대해 고찰한다.Ⅱ. 관련 법률 규정 민간임대특별법 제44조는 임대료 증액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제44조 제2항: “임대사업자는 임대료의 5퍼센트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증액비율을 초과하여 청구해서는 안된다.”제44조 ..

상생임대주택에 따른 양도소득세 거주요건 면제 특례

Ⅰ. 서론 2021년 이후 부동산 시장의 급등과 전세 시장의 불안정성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임대차 시장의 안정을 목적으로 이른바 상생임대주택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임대계약 체결 시, 양도소득세 과세 요건 중 ‘거주요건’을 면제하는 세제 특례를 부여하는 제도로서, 1세대 1주택자가 상생임대를 통해 임대하였을 경우 한정적으로 적용된다. 이 제도는 2026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특히 실무상 많은 납세자가 제도의 요건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해 불이익을 받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 글에서는 상생임대주택 제도의 주요 요건과 그 법적 근거, 세무 행정 해석 및 실무상 유의사항을 체계적으로 고찰한다.Ⅱ. 상생임대주택 제도의 개요 적용대상: 1세대 1주택자로서 상생임대차계약을 ..

임대사업자의 아파트 추가 매입 시 취득세 과세기준

I. 서론 부동산 세제 중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하는 자에게 최초로 부과되는 직접세로서, 그 과세 기준은 세대의 주택 보유 현황, 매입 지역, 그리고 취득 대상물의 성격 등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된다. 특히 임대사업자가 아파트를 추가 매입하는 경우, 과거에는 일정 조건하에서 취득세 감면 혜택이 있었으나, 관련 법령 개정 이후 감면이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실무상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현행 민간임대주택법 및 지방세법을 중심으로 아파트 추가 매입 시 취득세 부과 기준과 판례상 해석을 검토한다.II. 민간임대주택법상 임대주택 등록제도의 변동 1. 아파트 등록 제한 규정2021년 개정된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5조에 따르면,“민간임대주택의 등록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택 유형에 한하여..

부동산등기 2025.03.22

임대사업자에 대한 지방세 감면 제도 - 2027년까지 연장

I. 서론 주택시장 안정화와 민간 임대주택 공급 촉진을 위한 세제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는 일정 요건을 갖춘 임대사업자에게 취득세 및 재산세에 대한 감면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지방세특례제한법 제31조의3에 규정된 지방세 감면은 실무상 널리 활용되나, 그 적용 범위와 조건이 매우 제한적이며, 최근 연장된 2027년 12월 31일까지의 유효기간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II. 지방세 감면의 법적 근거 지방세특례제한법 제31조의3(임대주택에 대한 감면)에 따르면,“등록임대주택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취득세 및 재산세를 감면할 수 있다.”동 조문은 지방세 감면의 근거 규정이며, 구체적 요건은 시행령에 위임하고 있다.III. 취득세 감면 제도 1. 적용 요건다음 요건을 모두 충..

부동산등기 2025.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