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에도 대부업체 및 채권추심인에 의한 불법 채권추심 행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행위는 채무자의 인권을 침해하며, 정당한 채권 회수의 범위를 넘어선 위법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채권추심법에 근거한 불법 유형을 정리하고, 법적 대응의 실무적 절차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Ⅱ. 불법 채권추심의 유형 - 채권의공정한추심에관한법률(이하, 채권추심법) 1. 폭행 및 협박 (제9조 제1호) 폭언, 구타, 위협적 발언가족이나 지인을 향한 협박 행위예: “평생 후회하게 해주겠다”는 표현2. 야간 및 반복적 연락 (제9조 제2, 3호) 사전 동의 없는 밤 9시 이후 연락하루 2회 이상 반복 전화, 방문3. 허위 정보 제공 (제9조 제4호) 과도한 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