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인동의 2

주택 임대차에서의 사업자등록 동의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적용

I. 서론 현대의 주거용 부동산 시장에서는 임차인이 주택을 임차한 이후 해당 공간에서 온라인 비즈니스(예: 전자상거래 등)를 목적으로 사업자등록을 요청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청에 대해 임대인이 명확한 법적 판단 없이 동의할 경우,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이하 "상임법")의 적용을 받게 되어 최장 10년의 계약갱신요구권 등 임차인의 강력한 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주택에서의 사업자등록 가능성과 그로 인한 법률적 함의를 고찰하고, 임대인이 이에 대해 어떤 법적 유의사항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분석한다.II. 주택에서의 사업자등록 가능 여부 상임법 제2조 제1항은 그 적용 대상을 “사업을 위한 건물”로 규정하고 있다. 즉, 형식적으로는 주택이라 하더라도 사업자등록이 이루어진 경우, 실질적으로..

임대인의 체납 세금 정보 열람 의무와 임차인의 권리 보호

I. 서론 최근 전세사기 피해가 급증하면서, 임대차 계약 체결 전 임대인의 세금 체납 여부 확인이 임차인의 권리 보호를 위한 필수 절차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택임대차보호법, 국세징수법, 지방세징수법 등 관련 법령이 개정되었고, 실무상 체납 정보 열람을 통한 사전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관련 법령과 판례를 바탕으로 임대인의 세금 체납 정보 열람제도의 법적 근거와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II. 임대인의 세금 체납과 임차인의 권리 침해 위험 1. 전세사기와 체납세금의 연관성부동산 등기부상 근저당권이 없는 경우에도 임대인의 체납 세금으로 인해 국가가 압류 및 경매를 집행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국가는 세금 채권자로서 보증금 반환채권보다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