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등기

법인등기 해태에 따른 과태료 부과의 법적 근거와 절차

법잘알 강법무사 2025. 3. 16. 13:40

I. 서론 

기업법상 법인은 설립 이후 각종 등기사항의 변경이 있을 경우 이를 법정기간 내에 등기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대표이사 변경, 본점 이전, 자본금 변경 등 사유 발생 후 이를 제때 등기하지 않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와 같은 등기 해태는 과태료 부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과태료가 최대 500만 원까지 부과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법인등기 해태의 법적 처리절차실무상 유의사항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II. 법적 근거 

1. 상법 제635조 제1항 제1호

“법인이 법정 기한 내 등기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법원은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본 조항은 등기 해태에 대한 과태료 부과의 직접적 근거를 제공하며, 실제 실무에서 대부분의 부과 결정은 이 조항에 의거하여 이루어진다.

2. 비송사건절차법 제247조 내지 제250조

이 규정은 과태료 절차에 있어 법원의 직권 심리권을 명시한다. 특히 제248조 제2항은 “법원은 과태료 부과 전에 당사자에게 의견을 진술할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고 규정함으로써 절차적 정당성을 보장하면서도, 절차의 신속을 위해 제250조에서 "법원은 타당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당사자의 진술을 듣지 아니하고 과태료재판을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III. 과태료 부과 대상 및 기준

1. 주요 과태료 대상

  • 본점 이전
  • 임원 변경
  • 자본금 변경
  • 법인 해산 및 청산
  • 주식 관련 변경 등

이러한 항목은 대부분 2주 이내 등기의무가 발생하므로, 기한을 초과할 경우 등기 해태로 간주된다.

2. 과태료 부과 실무 지침

과태료는 법원의 재량에 따라 결정되나, 실무 지침상 아래와 같은 기준이 통용된다:

해태 기간예상 과태료
1개월 이내 25만 원
2개월 이내 50만 원
2개월 ~ 6개월 75만 원
6개월 ~ 1년 125만 원
1년 ~ 2년 175만 원
2년 ~ 3년 250만 원
3년 이상 350만 원 이상

해태가 반복되거나 다수 건인 경우, 건별로 각각 부과될 수 있다.


IV. 과태료 부과 절차

  1. 과태사항 통지
    등기소는 등기 해태 사실을 인지하면, 관할 법원에 이를 통지한다(상법 제635조 제1항 제1호).
  2. 법원의 조사 및 결정
    법원은 해태 여부를 조사하고, 고의성, 해태 기간, 정당한 사유 유무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과태료를 결정한다.
  3. 이의 신청 절차
    과태료 처분에 대해 불복하는 경우, 결정문 송달일로부터 7일 이내 이의 신청이 가능하다(질서위반행위규제법 제32조).
  4. 과태료 고지 및 납부
    이의가 기각되거나 제기되지 않은 경우, 납부 고지서가 송부되며, 이로써 과태료 부과는 확정된다.

V. 판례 분석

  • 대법원 2008도13785 판결
  • “법인이 등기를 장기간 해태한 경우, 특별한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인정된다.”
  • 서울고등법원 2015누51267 판결
  • “대표이사의 질병, 천재지변 등의 사유는 정당한 사유로 판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과태료 부과는 위법하다.”

이와 같은 판례는 등기 해태에 대한 과태료 면책 가능성을 확인시켜주며, 특히 불가항력 사유는 실무상 유효한 항변이 될 수 있다.


VI. 결론 및 시사점

법인등기 해태는 단순 행정상의 태만이 아닌, 법적 책임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문제이다. 특히 과태료 외에도 등기 해태가 청산 간주로 연결될 가능성도 있어 기업 운영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한 내 등기의무 준수는 법인 운영에 있어 필수적인 사항으로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과태료 부과는 형사처벌이 아닌 행정질서벌에 해당하므로, 이의 신청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부당한 처분을 방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법원은 사안의 경중에 따라 탄력적이고 실체적 정의에 부합하는 판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