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3 3

사업자 계좌 압류의 법적 효력 및 소멸시효 중단

Ⅰ. 서론 채권자는 채무자가 금전채무를 불이행할 경우 법적 절차를 통해 채무자의 재산에 대한 강제집행을 청구할 수 있다. 특히 사업체를 운영 중인 채무자의 경우, 사업자 명의 계좌는 재산권 행사에 있어 핵심적인 수단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압류함으로써 채권의 회수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사업자 계좌 압류의 법적 유효성과 소멸시효 중단의 효과에 대해 실무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채권자가 유의해야 할 법적 쟁점들을 정리한다.Ⅱ. 사업자 계좌 압류의 유효성 1. 계좌 잔액의 유무와 압류의 효력 사업자 계좌에 대한 압류는 그 시점에서 계좌에 실질적인 잔액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원칙적으로 효력이 발생할 수 있다. 대법원은 계좌 압류의 경우 장래에 입금될 금액도 압류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판시하고..

민사집행 2025.03.23

신용정보회사 채권추심 위임계약의 법적 검토와 실무상 유의점

Ⅰ. 서론 채권 회수는 민사 관계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분쟁 중 하나로, 그 해결을 위해 채권자는 종종 신용정보회사에 채권추심을 위임하게 된다. 신용정보회사는 비교적 간편한 절차와 접근성으로 인해 중소규모 채권자들에게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실무적으로는 계약상의 불리한 조항들로 인해 예기치 않은 법적 분쟁이나 비용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신용정보회사와의 채권추심 계약 체결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주요 유의사항을 중심으로 법적·실무적 쟁점을 고찰하고, 법무사 또는 변호사를 통한 대안적 절차를 제시하고자 한다.Ⅱ. 신용정보회사 채권추심 계약의 주요 문제점 1. 자동 갱신 조항에 따른 계약 기간 연장 문제 대다수 신용정보회사와의 위임 계약은 계약 기간을 통상 1년으로 설정하고, 계약 종료 1개월..

민사집행 2025.03.23

불법 채권추심의 유형과 처벌 –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

Ⅰ. 서론 채권의 회수는 사적 자치의 원칙에 따라 정당한 권리 행사로 인정되지만, 그 방식에 있어 채무자의 인격권과 평온한 생활을 침해하지 않아야 한다. 최근 대부업자 및 일부 채권추심자들의 불법적인 추심 행위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2009년 제정된 『채권의 공정한 추심에 관한 법률』(이하 “채권추심법”)은 공정한 채권추심을 보장하고, 채무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장치를 마련하였다. 이 글에서는 불법 채권추심의 행위 유형과 그에 따른 처벌 기준을 중심으로 채권추심법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실무상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Ⅱ. 채권추심법의 제정 목적과 적용 범위 1. 제정 배경 채권추심법은 채권자가 채권 회수 과정에서 권리를 남용하거나 폭력적·협박적인 방식으로 채무자를 압박하는 행위..

민사집행 202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