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3

주주총회의사록에 대한 감사의 기명날인 여부

Ⅰ. 서론 상법상 주주총회는 회사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최고 의결기관으로, 그 절차와 문서화는 법적 효력을 지니는 요소이다. 특히 주주총회의 결과를 기록한 의사록은 회사 내부는 물론 외부 이해관계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문서이다. 이러한 의사록 작성 시, 감사의 기명날인 또는 서명의 필요성에 관하여 실무상 혼선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 글에서는 감사의 의무와 역할, 그리고 의사록 서명 여부의 법적 해석, 아울러 공증 절차에서의 실무적 고려사항을 검토하고자 한다.Ⅱ. 감사의 법적 의무와 역할 감사는 회사의 내부 통제를 담당하는 핵심기관으로서, 주주총회에 제출되는 서류의 적법성과 타당성을 검토할 의무가 있다.상법 제413조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감사는 이사가 주주총회에 제출할 ..

상업등기 2025.04.14

이사회 의사록에 대한 감사의 기명날인 의무와 그 법적 효과

I. 서론 이사회 의사록에 감사가 기명날인을 하지 않은 경우, 해당 이사회 결의의 효력이나 관련 등기절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상법 실무에서 자주 제기되는 문제다. 특히 공증 및 상업등기 과정에서 감사의 날인 여부가 등기의 성립 및 효력과 직결되는지에 대한 법적 해석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상법상 감사의 권한과 역할, 그리고 의사록에 대한 기명날인 의무의 해석과 그 실무상 효과를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II. 감사의 이사회 내 권한과 의무 1. 이사회 소집 통지 대상상법 제390조 제3항은 이사회 소집에 있어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를 발송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감사 또한 이사회의 감시대상자로서 일정한 절차보장의 필요성을 인정한 조항으로 해석된다.2. 감사의 이사회 소집 청구 및..

상업등기 2025.04.14

정기주주총회의 법적 중요성과 의사록 서명 실무

I. 서론 정기주주총회는 단순한 연례 절차가 아닌 회사의 경영적·법적 존속을 위한 핵심 기제이다. 특히 자본시장에 참여하는 주식회사의 경우, 총회 준비에서부터 사후 절차에 이르기까지 적법하게 진행되지 않으면 법적 리스크와 경영 불이익이 뒤따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상법상 정기주주총회의 소집 요건, 결의 요건 및 의사록 서명 관련 실무 쟁점을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II. 정기주주총회의 소집과 통지 1. 법적 근거 및 요건상법 제363조 제1항은 “회사는 매년 1회 정기총회를 소집하여야 하며, 결산기 말일부터 3월 내에 이를 개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정기주총의 소집 통지는 일반 회사의 경우 2주 전까지, 자본금 10억 원 미만의 소규모 회사의 경우에는 10일 전까지 이루어져야 한다.또한 소집..

상업등기 2025.04.14